일상記/2015 이전

구성애의 <아우성>과 지금

클라시커 2011. 2. 19. 22:25
2005년 <mbc 화제집중>을 통해 다시 방영된 구성애의 아우성 중 한 장면. 강연자 구성애와 진행자 김성주, 박혜진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구성애의 아우성 2005>의 한 장면 (저작권 : mbc)


늘 그렇듯, 도서관 알바를 하다 한 구석에 자리잡은 구성애의 <아우성>이란 책을 보았습니다. 한때 참 이 방송 모르면 간첩 소리 들을 정도로 유명했던 방송이었죠. 이전까지 아무도 말하지 않던, 설사 말하더라도 매우 간접적이고 형식적으로 이뤄지던 청소년의 성을 거의 처음으로 공식석상에서 다뤘기 때문인데요. 이게 처음 방영되어 세간에 관심을 몰았던게 1998년, 그리고 인기에 힘입어 재방영된게 2005년으로 기억합니다.

아우성 생각을 하니 줄줄이 다른 프로그램들이 생각났습니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도올의 노자강독이랄지, mbc의 <책, 책, 책 책을 읽읍시다>같은 인문적인 프로그램들이 (그러고보니 모두 공교롭게도 mbc 방송들이군요!) 지난 10년 동안 많이도 회자되었습니다. 방송에서 성과 철학, 문화같은 아주 '여유로운' 담론들이 풍요롭던 시절이었죠. 지금같이 TV만 틀면 이상하게도 구제역이니, 돼지 시체니 살인이니 납치니 하는 끔찍한 것들만 나오는 시절과는 꽤 판이해보입니다.

이런 사례는 "지난 10년이 지금보다는 살기 좋다"는 일각의 주장을 매우 잘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때는 확실히 지금보다는 '진보적인' 세월이었죠.

생각이 여기까지 흐르니, 자연스레 최근의 문제인 '통합'까지 흐름이 닿기 시작합니다. 위에서 한 생각대로, 결론은 아주 자연스럽게 "민주당까지 포함하는 통합도 나쁘지는 않다"는데 미칩니다. 다른 모든 것을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정권교체만 바란다면, 분명히 민주당까지 포함하는 통합은 옳은 선택일 것입니다. 하지만 진보세력의 성장이니 집권경험이니 하는 이유를 단다면, 그것은 거짓말입니다. 이미 우리는 수차례 '비지론'을 통해 '이번 한 번만'이 어떻게 돌아왔는지를 목도하지 않았습니까.

일부의 구상처럼 민주당이 재집권을 하고, 연립정부 구성을 통해 진보진영이 수권의 기회를 잡는다고 할지라도 그 기회는 진보 전부의 것이 될 수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진정한 연정이란 가치를 공유할 때나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며, 지금 연립정부 구상을 하는 사람들의 면면을 보면 그런 생각이 들 수밖에 없기도 합니다.